미주 멘토링

rollingBanner
rollingBanner

혹시 미국 대학원 예체능 계열 다녀보신 분 계신가요?

물방울갯수 50

한국에서 대학교 나왔습니다

미국 대학원 master degree로 진학하려 합니다.

제 전공이 영상 예술이에요.(영화,애니메이션 등등 전반적으로 다룸)

제가 대학에서는 졸업 논문 대신 졸업 작품을 제출해서 졸업했고

이게 제가 다닌 대학만 그러는게 아니라 한국 전반적인 예술 대학은 전부 논문 대신 졸업 작품을 제출하더라고요

그리고 한국 대학원에서는 주로 배우기보단 교수님 조수일을 많이 하게 된다고 들어 대학원 입학에 고민이 많았습니다.

미국 대학원도 비슷한가요? 졸업하려면 논문이 필수인지, 보통 학업 난이도나 학교 분위기는 어떤지 (대학교와 많이 비슷한지)알고 싶습니다


ㄱㄹ Fully Charged! - 정상 사용자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Manhattan 미국생활 조회수 771 신고 신고하기

답변하시면 내공 10점을, 답변이 채택되면 내공 50점과 물방울 50개를 드립니다.

님, 멘토가 되어 주세요.

답변하시면 내공 10점을, 답변이 채택되면 내공 50점과 물방울 50개를 드립니다.

하이퍼 Fully Charged! - 정상 사용자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답변

금메달 채택 1,034 채택율 15% 질문 58 마감률 0%
menu

일단 한국하고 다릅니다.

석사 학위의 경우 예술 학교에서 학위를 위한 필수 과정들을 보세요.

학교 마다 다르기 때문에 무조건 논문을 쓴다고는 할수 없고요.

영상 예술쪽이다 보니 그에 맞는 영상이나 퍼포먼스는 요구 될거 같습니다.


한국은 조교로 해서 일 엄청 하는데,

미국은 장학금을 신청하거나 혹은 TA 같은 포지션일을 하면서 돈을 받게 되기 때문에 한국하고는 많이 차이가 날거라고 생각이 됩니다.

학업 난이도와 학교 분위기는 한국과 그냥 많이 다릅니다.

대신 영어가 딸리기 때문에 더 많은 시간을 들여서 남들보다 더 잘 해내야 겠지요.


일단 한국하고 다릅니다.

석사 학위의 경우 예술 학교에서 학위를 위한 필수 과정들을 보세요.

학교 마다 다르기 때문에 무조건 논문을 쓴다고는 할수 없고요.

영상 예술쪽이다 보니 그에 맞는 영상이나 퍼포먼스는 요구 될거 같습니다.


한국은 조교로 해서 일 엄청 하는데,

미국은 장학금을 신청하거나 혹은 TA 같은 포지션일을 하면서 돈을 받게 되기 때문에 한국하고는 많이 차이가 날거라고 생각이 됩니다.

학업 난이도와 학교 분위기는 한국과 그냥 많이 다릅니다.

대신 영어가 딸리기 때문에 더 많은 시간을 들여서 남들보다 더 잘 해내야 겠지요.


탐포포 Fully Charged! - 정상 사용자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답변

동별 채택 17 채택율 15.7% 질문 4 마감률 0%
menu

예체능 쪽 대학원은 가보지 않았지만, 우선 답변을 제 수준내에서 드리자면 미국내에 대학원은 무조건 논문이다는 아닙니다.

학교별로 이론에 강한 학교가 있고 (보통 명문대들) 실기 쪽이 강한 쪽이 있습니다 (예체능 전문화 대학). 때문에 본인이 가고 싶은 대학원 웹사이트에 들어가서 졸업 조건이 무엇인지 확인해 보세요. 대부분 석박사 통합 과정으로 운영될 때 Thesis 를 쓰게 되지만, 석사 자체로 운영될 때에는 논문을 제출해야 하는 학교도 있고 (이 경우 커리 자체가 논문 작성을 할 수 있도록 연구 방법론, 통계 등이 필수로 되어 있고) 실기 영상 제출로 되는 학교도 있으니 본인이 확인해야지 일반적으로 이러냐 저러냐를 이야기 할 수 있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TA를 할 수있는 것처럼 위에 이야기 했는데 석사 과정생은 보통 TA로 못나갑니다. 본인 능력껏 RA로 지원할 수 있고 만약 되면 시간당 일한 만큼 페이 받는 것이지 교수 요구니까 뭐 하고 안하고는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의 전반적인 학술 능력은 예전에 비해서 높아졌고 대학원 수준도 높아졌기 때문에 일방적으로 한국 대학원 미국 대학원 비교는 어불 성설이라고 생각드네요. 미국 대학원도 학업 강도가 아주 높은 곳도 있고 그냥 어떻게든 졸업시키는 학교도 있습니다. 기본적인 차이는 한국은 유럽 영향을 많이 받아서 역사 이론 이런 이론 부분을 기본적으로 가르치는데 미국은 실용적으로 어떻게 할 수 있냐에 전반적으로 더 많이 초점이 맞춰져 있어 당장 지금 사용될 수 없는 거면 아무리 훌륭한 이론이고 역사여도 보통 잘 안 다룹니다.

예체능 쪽 대학원은 가보지 않았지만, 우선 답변을 제 수준내에서 드리자면 미국내에 대학원은 무조건 논문이다는 아닙니다.

학교별로 이론에 강한 학교가 있고 (보통 명문대들) 실기 쪽이 강한 쪽이 있습니다 (예체능 전문화 대학). 때문에 본인이 가고 싶은 대학원 웹사이트에 들어가서 졸업 조건이 무엇인지 확인해 보세요. 대부분 석박사 통합 과정으로 운영될 때 Thesis 를 쓰게 되지만, 석사 자체로 운영될 때에는 논문을 제출해야 하는 학교도 있고 (이 경우 커리 자체가 논문 작성을 할 수 있도록 연구 방법론, 통계 등이 필수로 되어 있고) 실기 영상 제출로 되는 학교도 있으니 본인이 확인해야지 일반적으로 이러냐 저러냐를 이야기 할 수 있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TA를 할 수있는 것처럼 위에 이야기 했는데 석사 과정생은 보통 TA로 못나갑니다. 본인 능력껏 RA로 지원할 수 있고 만약 되면 시간당 일한 만큼 페이 받는 것이지 교수 요구니까 뭐 하고 안하고는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의 전반적인 학술 능력은 예전에 비해서 높아졌고 대학원 수준도 높아졌기 때문에 일방적으로 한국 대학원 미국 대학원 비교는 어불 성설이라고 생각드네요. 미국 대학원도 학업 강도가 아주 높은 곳도 있고 그냥 어떻게든 졸업시키는 학교도 있습니다. 기본적인 차이는 한국은 유럽 영향을 많이 받아서 역사 이론 이런 이론 부분을 기본적으로 가르치는데 미국은 실용적으로 어떻게 할 수 있냐에 전반적으로 더 많이 초점이 맞춰져 있어 당장 지금 사용될 수 없는 거면 아무리 훌륭한 이론이고 역사여도 보통 잘 안 다룹니다.

유노키 Fully Charged! - 정상 사용자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답변

동별 채택 2 채택율 4.8% 질문 3 마감률 0%
menu

한국에서 대학교 나왔습니다

미국 대학원 master degree로 진학하려 합니다.

제 전공이 영상 예술이에요.(영화,애니메이션 등등 전반적으로 다룸)

제가 대학에서는 졸업 논문 대신 졸업 작품을 제출해서 졸업했고

이게 제가 다닌 대학만 그러는게 아니라 한국 전반적인 예술 대학은 전부 논문 대신 졸업 작품을 제출하더라고요

-> 경험자라 제가 대답 해드릴수 있겠네요. 전공이 영상예술이라면 미국4년재 미술대학교에서는 졸업시 졸업작품을 낼것이고
대학원 master's degree 는 관련분야 연구(research) 해서 졸업시 논문을 내야할것입니다.



그리고 한국 대학원에서는 주로 배우기보단 교수님 조수일을 많이 하게 된다고 들어 대학원 입학에 고민이 많았습니다.

미국 대학원도 비슷한가요? 졸업하려면 논문이 필수인지, 보통 학업 난이도나 학교 분위기는 어떤지 (대학교와 많이 비슷한지)알고 싶습니다

Instructor's Assistant 조교 신청해서 일 배울수는 있겠지만 석사생이 동시에 조교하는것은 보지 못했습니다. 박사생이 주로 합니다. 학교라이브러리 같은데서 일 할수는 있겠네요. 졸업논문이 필수입니다. 한국처럼 교수일을 하는것이 목적이 아니라 마스터 디그리의 목적은 학부에서 작품, 작업을 배웠다면, 이후 취직하고 실전에서 리얼라이프를 경험하고 학구적으로 그 전공분야를 더 공부하는 과정에서 논문을 쓰며 나만의 finding(깨달음) 을 1차적으로 찾아보는 첫걸음이 되겠습니다. 이후 박사, 포닥은 학문적으로 그 전공분야를 더 파고드는 것입니다. 대학교 졸업 후 회사 취직해서 실무 경험 쌓기를 추천합니다. 대학교때 교수님한테 바로 부모님이 졸업후 바로대학원 가라하는데 어떻게 생각하냐고 하니 답하시더군요. 4학년에서 5학년 되는거라 큰 깨달음 같은건 없을거라고요. 1년이라도 실무 일을 해보고 대학원 가는게 인생에 도움이 있을거라 하셨는데 진심 동감 입니다. 한국에서는 대학교-대학원 바로 가는경우가 많은데, 취직을 하면서 대학원 병행을 하면 내가 공부하는것이 관련업무에 도움이 되기때문에 훨씬 효과적이고 능력치에 도움이 됩니다.

예술계열은 커넥션이 중요합니다. 기회를 얻을 수 있기때문이죠. 학교다니면서 교수님과 잘 지내면서 인턴쉽 기회도 얻을 수 있고 그렇습니다. 미국에서는 학부때부터 그럽니다. 석사때도 잘 하면 그렇게 될수는 있겠지만, 본인의 무엇을 어떻게 하고싶은지 approach 에 따라 다릅니다. 어찌됐건 논문을 쓰셔야됩니다. 학부때 책 잃고 리포트 페이퍼 쓰는것을 주로 하지않았다면 예술계도 석사때 논문을 내야하기때문에 읽고 쓰는게 많으니 그동안 안했던것을 해야해서 고생좀 하실겁니다. 모든것은 마음먹기에 달렸죠. reading writing 공부 그동안 안했던거 채울 기회다 감사하게 마음 먹고 학문적으로 파고드는 첫발걸음이 되실겁니다. 화이팅!

한국에서 대학교 나왔습니다

미국 대학원 master degree로 진학하려 합니다.

제 전공이 영상 예술이에요.(영화,애니메이션 등등 전반적으로 다룸)

제가 대학에서는 졸업 논문 대신 졸업 작품을 제출해서 졸업했고

이게 제가 다닌 대학만 그러는게 아니라 한국 전반적인 예술 대학은 전부 논문 대신 졸업 작품을 제출하더라고요

-> 경험자라 제가 대답 해드릴수 있겠네요. 전공이 영상예술이라면 미국4년재 미술대학교에서는 졸업시 졸업작품을 낼것이고
대학원 master's degree 는 관련분야 연구(research) 해서 졸업시 논문을 내야할것입니다.



그리고 한국 대학원에서는 주로 배우기보단 교수님 조수일을 많이 하게 된다고 들어 대학원 입학에 고민이 많았습니다.

미국 대학원도 비슷한가요? 졸업하려면 논문이 필수인지, 보통 학업 난이도나 학교 분위기는 어떤지 (대학교와 많이 비슷한지)알고 싶습니다

Instructor's Assistant 조교 신청해서 일 배울수는 있겠지만 석사생이 동시에 조교하는것은 보지 못했습니다. 박사생이 주로 합니다. 학교라이브러리 같은데서 일 할수는 있겠네요. 졸업논문이 필수입니다. 한국처럼 교수일을 하는것이 목적이 아니라 마스터 디그리의 목적은 학부에서 작품, 작업을 배웠다면, 이후 취직하고 실전에서 리얼라이프를 경험하고 학구적으로 그 전공분야를 더 공부하는 과정에서 논문을 쓰며 나만의 finding(깨달음) 을 1차적으로 찾아보는 첫걸음이 되겠습니다. 이후 박사, 포닥은 학문적으로 그 전공분야를 더 파고드는 것입니다. 대학교 졸업 후 회사 취직해서 실무 경험 쌓기를 추천합니다. 대학교때 교수님한테 바로 부모님이 졸업후 바로대학원 가라하는데 어떻게 생각하냐고 하니 답하시더군요. 4학년에서 5학년 되는거라 큰 깨달음 같은건 없을거라고요. 1년이라도 실무 일을 해보고 대학원 가는게 인생에 도움이 있을거라 하셨는데 진심 동감 입니다. 한국에서는 대학교-대학원 바로 가는경우가 많은데, 취직을 하면서 대학원 병행을 하면 내가 공부하는것이 관련업무에 도움이 되기때문에 훨씬 효과적이고 능력치에 도움이 됩니다.

예술계열은 커넥션이 중요합니다. 기회를 얻을 수 있기때문이죠. 학교다니면서 교수님과 잘 지내면서 인턴쉽 기회도 얻을 수 있고 그렇습니다. 미국에서는 학부때부터 그럽니다. 석사때도 잘 하면 그렇게 될수는 있겠지만, 본인의 무엇을 어떻게 하고싶은지 approach 에 따라 다릅니다. 어찌됐건 논문을 쓰셔야됩니다. 학부때 책 잃고 리포트 페이퍼 쓰는것을 주로 하지않았다면 예술계도 석사때 논문을 내야하기때문에 읽고 쓰는게 많으니 그동안 안했던것을 해야해서 고생좀 하실겁니다. 모든것은 마음먹기에 달렸죠. reading writing 공부 그동안 안했던거 채울 기회다 감사하게 마음 먹고 학문적으로 파고드는 첫발걸음이 되실겁니다. 화이팅!